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.
강의 수강 시작
강의 수강 완료
학습 인증샷
문자열 안에서 따옴표를 출력할려면 이스케이핑을 사용하면 된다. 이스케이핑은 흔히 부르는 역 슬래시 모양이다. 그러면 print("\"안녕 홍길동아\")처럼 사용되는 것이다. \t은 탭 문자를 출력하고, \n은 줄바꿈 문자를 출력한다. \\이면 백슬래시가 출력된다. 문자열 인덱싱은 문자열에서 하나의 문자를 얻는 것으로 첫 번째는 인덱스 0이다. 1이 아니므로 주의해야한다. 문자열 슬라이싱은 서브스트림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. 변수명[시작:끝]을 적어서 표현하는 특징이 있다. 리스트에 있는 숫자 변경하기는 가능했지만, 문자들이 있는데 딱 하나의 문자만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다.
리스트는 대괄호 안에 쉼표로 구분하며 서로 다른 자료형의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. 이렇게 되면 예시로 a =["a", 1, 2]가 가능해지는 것이다. 리스트는 중첩도 가능해서 행렬도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이다. 딥러닝 분야에서도 이는 많이 쓰이고 있다. 리스트에 삽입할 때는 insert, 마지막에 삽입시는 append, 제거할 때는 remove, 원소를 정렬할 때는 sort를 쓴다. reverse=True를 하면 정렬 값이 반대로 될 수도 있다. 2차원 이상의 리스트를 초기화할 때는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사용한다.
튜플은 소괄호를 쓸 수 있고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. 튜플은 성질이 다른 것을 쓸 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 또한,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 값이 변경이 되면 안 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.
사전 자료형은 키와 값 쌍의 형태로 저장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. keys()를 사용해서 모든 키를 확인할 수 있고 내가 알고 싶은 데이터의 등장 횟수 개수를 셀 때를 잘 사용할 수 있다. 집합 자료형은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도 상관없는 특징이 있다. append가 아닌 add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. 제거는 동일하게 remove로 쓸 수 있고 리스트로 변경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.
파이썬은 참과 거짓으로 구분할 수 있다. 이를 불 자료형이라고 한다. 조건문에서 많이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9일차 : 딥러닝·인공지능 Signature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0) | 2025.03.23 |
---|---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8일차 : 딥러닝·인공지능 Signature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1) | 2025.03.22 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6일차 : 딥러닝·인공지능 Signature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0) | 2025.03.20 |
13기 C언어 코딩자율학습단 참여 후기 (4) | 2025.03.19 |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5일차 : 딥러닝·인공지능 Signature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(0) | 2025.03.19 |